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아동·청소년·교육

학부모 필독!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보호자의 의무와 법적 기준

by 늘슬찬 엠디 2025. 7. 3.
반응형

오늘은 학부모님과 교사 모두가 꼭 알아야 할 학생생활지도에 관해 이해와 협력의 중요성을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따뜻한 시선으로 교사의 역할을 응원하며, 보호자로서 우리 아이의 교육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줄 수 있는 법적 기준과 실천 방법을 쉽고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학생과 상담하고 있는 이미지

"교사의 생활지도, 아동학대가 아닙니다"

 

🟩 관련규정 : 초·중등교육법과 유아교육법에 따르면, 학교장과 교원은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며 필요시 훈육·지도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아동복지법의 아동학대로 보지 않도록 예외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따라서 정당한 교육활동이라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어요! (【초·중등교육법 제20조의2】)

 

"보호자의 협력 의무"

 

🟩 초·중등교육법 제18조의5, 제20조의2 : 학부모는 교사의 학생지도와 생활지도를 존중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아 지도 역시 학부모의 존중과 지원 대상입니다. ✔️ 즉, 보호자는 교사의 전문성을 믿고,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 동참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어요.

 

"상담은 협의된 약속으로"

 

🟩 상담방법 : 상담을 요청하거나 응할 때는 시간·목적·방법에 관해 사전 협의가 필요합니다.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제10조】)

 

✔️ 근무시간 외, 무례한 요청 또는 상대가 거부할 충분한 사유가 있다면 교사는 정중히 거절할 수 있습니다. ✔️ 폭언, 협박, 무리한 요구 등으로 교사에게 불가피한 사정이 생기면 상담은 중단할 수 있으며, 이는 법적으로 보호받는 권리입니다.

 

"민원과 분쟁 조정체계"

 

🟩 민원조정 : 민원 사항은 학교장이나 원장의 책임입니다. 해결되지 않는 불만은 상담센터(☎1395) 또는 소비자 피해구제 기관을 통해 절차를 밟을 수 있습니다.

 

💡 교육감의 의견 제출

 

✔️ 만약 교사의 정당한 지도 행위가 아동학대 조사 대상이 된다면, 교육감은 7일 이내에 해당 사실에 대한 법적 의견서를 제출하도록 의무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 교사와 학부모, 서로를 지켜보려 하기보단 이해하고 협력하는 교육 환경이 필요합니다.

 

✔️ 교사의 지도는 법적으로 인정된 권리이며, ✔️ 보호자의 협력은 법적 의무입니다. ✔️ 상담은 합의 기반, ✔️ 민원은 학교장의 책임, ✔️ 의혹이 생기면 교육감 의견서 제출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이 모든 과정은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합니다. 모든 학부모님과 교사가 동등한 입장에서 협력하여 아이를 함께 키우는 건 우리 교육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오늘은 교사의 생활지도와 보호자의 협력 의무, 그리고 법이 지켜주는 안전장치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문성과 존중을 바탕으로 한 교육공동체가 아이들에게는 건강한 성장 터가 되어 줄 겁니다.

 

때로는 엄격한 훈육도, 때로는 다정한 대화도, 모두 사랑의 다른 얼굴이니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교권 보호 첫걸음! 학생·학부모 대상 교육활동 침해예방 교육 총정리)【☞ 보러가기 ☜】

 

교권 보호 첫걸음! 학생·학부모 대상 교육활동 침해예방 교육 총정리

학생, 학부모, 교직원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첫걸음, 바로 교육활동 침해 예방교육입니다. 교사의 교육활동을 지키는 것은 곧 건강한 교육환경을 만드는 일이기도 하죠. 이번 포스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