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문화·여가생활

반려견 등록, 선택이 아닌 필수! 꼭 해야 하는 이유

by 늘슬찬 엠디 2025. 2. 5.
반응형

반려견과 함께하는 행복한 삶, 하지만 단순한 애정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반려견의 안전과 유실 방지, 그리고 공공위생 관리를 위해 반려견 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오늘은 반려견 등록 방법과 미등록 시 과태료 부과 사항까지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반려견 등록 신청을 하고 있는 이미지

"반려견 등록이 왜 필요할까요?"

 

✅ 등록대상 반려견 : 동물의 보호, 유실·유기 방지, 질병의 관리, 공중위생상의 위해 방지 등을 위하여 등록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월령 2개월 이상인 개를 말합니다. (【동물보호법】제2조 제8호 및 시행령 제4조)

 

✔️ 주택 및 준주택에서 키우는 개 ✔️ 주거공간 외의 장소에서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개

 

✅ 등록기한 : 등록대상동물은 해당 동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날 또는 소유한 동물이 등록대상 월령이 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동물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시행령 제10조 제1항)

 

🚨 미등록 시 과태료 100만 원 이하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등록하세요!

 

👉 Tip : 2개월 미만의 어린 강아지도 보호자가 원할 경우 미리 등록할 수 있어요!

 

"반려견 등록 방법 알아보기"

 

✅ 등록방법 : 동물병원 및 대행업체를 방문하여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개별삽입과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부착 동물등록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하면 됩니다. (동물보호법 제15조 제4항, 시행령 제10조 제3항)

 

✔️ 신청서 작성 후 수수료 납부 ✔️ 무선식별장치(마이크로칩) 삽입 or 등록인식표 부착 선택

✔️ 등록 완료 후 동물등록증 발급

 

※ 동물등록증 재발급 : 동물등록증을 잃어버리거나 헐어 못 쓰게 되는 경우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재발급 신청하여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시행령 제10조 제4항 전단 참조)

 

📌 반려견 등록 방식

 

1️⃣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 (10,000원)

 

✔️ 마이크로칩을 피부 아래 삽입 ✔️ 평생 등록 가능 & 분실 시 신속한 보호 가능

 

2️⃣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부착 (3,000원)

 

✔️ 반려견 목줄에 부착하는 방식 ✔️ 분실 위험이 있어 주기적 관리 필요

 

👉 Tip : 내장형 칩이 분실 위험이 적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추천합니다!

 

✅ 반려동물 등록을 대행할 수 있는 기관 :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동물등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아래 기관을 동물등록 대행업체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수의사법에 따라 개설된 동물병원 ✔️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에 등록된 동물보호 단체
✔️ 민법에 따라 설립된 동물보호 목적의 법인 ✔️ 동물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동물보호센터
✔️ 동물보호법에 따라 신고된 민간 동물보호시설 ✔️ 동물보호법에 따라 허가받은 동물판매업소

 

아래에서 반려동물 관련 다른 정보도 확인해 보세요!
▣ 반려견·반려묘 입양 전 꼭 확인하세요! 【☞ 보러가기 ☜】
▣ 반려견·반려묘,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는 방법! 【☞ 보러가기 ☜】
▣ 반려견과 안전한 외출, 꼭 지켜야 할 사항들! 【☞ 보러가기 ☜】
▣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교통 이용 가이드 【☞ 보러가기 ☜】
▣ 반려동물, 끝까지 책임지는 것이 기본입니다! 【☞ 보러가기 ☜】
▣ 반려견·반려묘 마지막까지 따뜻하게 보내는 방법 【☞ 보러가기 ☜】

"등록 후 정보변경 신고"

 

✅ 잃어버린 경우 : 동물등록을 한 소유자는 반려견을 잃어버린 경우 10일 이내에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제15조 제2항 제1호)

 

✅ 정보변경 : 동물등록을 한 소유자는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제15조 제2항 제2호 및 시행령 제11조 제1항)

 

✔️ 소유자 변경 (분양, 양도 등) ✔️ 이름, 주민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변경

✔️ 반려견이 사망한 경우 ✔️ 분실 신고 후 다시 찾았을 경우 ✔️ 무선식별장치를 잃어버리거나 망가진 경우

 

🚨 정보 변경 미신고 시, 과태료 50만 원 이하 부과!

 

👉 Tip : 반려견을 잃어버리면 10일 이내 신고 필수!

 

📌 반려묘 등록도 가능할까요?

 

✅ 고양이 : 현재 반려묘 등록은 의무 사항이 아니지만, 희망하는 경우 언제든 등록할 수 있습니다. 2022년 2월부터 전국으로 시범사업이 확대되어 반려묘도 동물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 가능 ✔️ 등록 시 반려묘 유실·유기 방지 효과 기대

 

👉 Tip : 고양이도 등록하면 실종 시 보호를 받을 확률이 높아져요!

반려동물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을 이용해 동물등록 및 동물등록대행업체에 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보러가기 ☜】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반려동물 등록은 반려견·반려묘의 유실 및 유기를 방지하고, 반려동물을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반려동물 등록, 지금 바로 진행하세요! 소중한 반려동물을 위해 보호자의 책임을 다해 주세요!

카카오 이모티콘

(아파트 반려동물 키우는 기준)【☞ 보러가기 ☜】

 

아파트 반려동물 키우는 기준

오늘은 아파트에서 반려동물을 키울 때 알아야 할 기준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랑스러운 반려동물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꿈꾸지만,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꼭 지켜야 할 규정이 있다는 점,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