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소비자보호

이런 건강기능식품은 절대 안 됩니다! 식약처가 금지한 판매불가 조건

by 늘슬찬 엠디 2025. 5. 9.
반응형

건강을 위해 찾은 건강기능식품, 혹시 위법한 제품일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건강기능식품은 아무나 만들고 팔 수 없습니다.

 

오늘은 식약처가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는 판매 금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과 실제로 발생하는 처벌 사례까지 낱낱이 알아보겠습니다. 클릭만으로 나와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정보, 지금부터 함께 보시죠!

건강기능식품 식약처 금지 조건 확인하는 이미지

"위해 건강기능식품이란?"

 

✅ 판매금지 : 건강기능식품이라 해도 아래 사항 중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제조·수입·판매·운반·진열 모두 금지입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23조】)

 

➡️ 금지 대상 : ✔️ 썩거나 상한 식품 ✔️ 유해물질 또는 유독성분이 포함된 식품 ✔️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에 오염된 식품 ✔️ 불결하거나 이물질이 섞인 식품 ✔️ 무허가 제조 제품 ✔️ 수입금지 제품 또는 수입신고 없이 반입된 제품 ✔️ 신고 없이 소분·조합된 제품

 

👉 주의! 이 항목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유통하면, 판매액의 2배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7조의2)

 

"기준·규격을 위반한 제품도 금지!"

 

✅ 기준·규격위반 : 건강기능식품은 기준과 규격이라는 엄격한 법적 테두리 안에서 제조되어야 합니다. 이를 벗어난 제품은 판매 금지 대상입니다.

 

➡️ 판매 금지 행위 : ✔️ 의약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합비율, 함량 사용 ✔️ 독성 원료 또는 부작용 가능 원료 사용 ✔️ 의약품 용도 원료를 사용한 제품

 

👉 이러한 제품을 수입하거나 유통하는 것도 모두 불법이며, 이 역시 과징금과 더불어 제조정지, 허가 취소의 대상이 됩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7조의2)

 

"표시 위반도 심각한 문제!"

 

✅ 표시기준 : 건강기능식품에는 반드시 다음의 정보가 법적 기준에 맞게 정확히 표기되어야 합니다.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제8조】)

 

➡️ 필수 표시 항목 예시 : ✔️ 제품명, 원재료명, 제조사 정보 ✔️ 소비기한, 섭취 방법 ✔️ 기능성 정보 및 성분 함량

 

👉 이를 누락하거나 거짓 표시, 과장된 문구를 사용할 경우에도 제조·판매가 금지되며, 영업정지 혹은 제품 폐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광고도 기준 위반 시 금지!"

 

✅ 광고금지 : 건강기능식품을 광고할 때 다음에 해당하는 표현은 절대 금지됩니다.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제8조)

 

➡️ 금지 광고 유형 : ✔️ 암을 예방합니다 처럼 질병 치료·예방 표현 ✔️ 의약품과 동일한 효과 처럼 혼동 우려 표현 ✔️ 허위·과장·기만 광고 ✔️ 비방 광고, 비교 광고 ✔️ 사행심을 유도하는 표현, 음란성 문구

 

👉 이러한 광고는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과 제재 조치"

 

✅ 처벌내용 : 위와 같은 판매금지 위반이 확인되면 다음과 같은 강력한 행정조치가 내려집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32조, 제33조)

 

🚨 주요 제재 예시 : ✔️ 제품 압류 및 폐기 ✔️ 영업허가 취소 / 영업소 폐쇄 ✔️ 6개월 이내 제조정지 명령 ✔️ 위반 사실의 공표 (신문 또는 정부 홈페이지 공개)

 

👉 이뿐만 아니라, 수입 시 신고 누락, 거짓 신고, 불법 유통의 경우 형사 처벌까지 가능합니다.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 반드시 확인하세요! : ✔️ 제품에 건강기능식품 표시가 있는가? ✔️ 기능성 표시와 성분 함량이 명확한가? ✔️ 식약처 고시 기준과 규격을 충족했는가? ✔️ 수입 제품이라면 정식 수입신고 되었는가?

 

👉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에서 제품명 검색만 해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바로가기 ☜】)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건강기능식품은 이름만으로 믿고 선택해서는 안 됩니다. 판매 금지 대상인지, 기준을 지켰는지, 표시와 광고가 적법한지 꼼꼼히 따져보는 습관이 나와 가족의 건강을 지켜줍니다.

 

소비자도, 판매자도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오늘, 이 포스팅이 건강한 선택을 위한 기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건강기능식품, 정말 안전할까? 기준·규격 검사와 안정성 관리의 모든 것)【☞ 보러가기 ☜】

 

건강기능식품, 정말 안전할까? 기준·규격 검사와 안정성 관리의 모든 것!

건강을 위해 먹는 건강기능식품, 과연 믿을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 한 번쯤 가져보셨죠! 오늘은 건강기능식품이 어떻게 기준·규격 검사를 거쳐 안전하게 유통되는지, 그리고 소비자가 직접 확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