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에서 개인정보 보호는 기업과 기관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법적 의무입니다. 특히 민감정보는 일반 개인정보보다 강력한 보호가 필요하며, 법적 규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오늘은 민감정보의 개념과 처리 제한, 그리고 법적 의무 사항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감정보란?"
✅ 민감정보 : 개인의 사생활 및 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큰 정보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제23조)
✔️ 사상·신념, 노동조합·정당 가입·탈퇴, 정치적 견해, 건강 및 성생활 정보 ✔️ 유전정보 (유전자검사 결과 포함)
✔️ 범죄경력자료 (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보) ✔️ 생체정보 (신체적·생리적·행동적 특징을 통해 생성된 정보) ✔️ 인종 또는 민족 정보
👉 Tip : 민감정보는 법적 보호가 강하게 적용되며, 함부로 처리할 경우 엄격한 법정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민감정보 처리 제한"
✅ 처리제한 : 민감정보는 원칙적으로 처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23조)
🚨 민감정보 처리 허용 조건
✔️ 정보주체의 별도 동의를 받은 경우 ✔️ 법령에서 처리를 요구하거나 허용한 경우 ✔️ 공공기관이 특정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수사·재판·형집행 등)
🚨 정보주체에게 반드시 알릴 사항
1️⃣ 수집·이용 목적 2️⃣ 수집하려는 민감정보 항목 3️⃣ 보유 및 이용 기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 및 거부에 따른 불이익 여부
👉 Tip : 민감정보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별도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일반 개인정보와 함께 처리해서는 안 됩니다!
"민감정보 처리 위반 시 법정 제재"
✅ 법정 제재 : 민감정보를 위법하게 처리한 경우 다음과 같은 처벌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 위반 행위로 취득한 금품 몰수 및 과징금 부과 가능 (법 제74조의2)
✔️ 안전성 확보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3천만 원 이하 과태료 (법 제75조) ✔️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처리 시, 전체 매출액의 3% 이하 과징금 부과 가능 (법 제64조의2)
👉 Tip : 위반 시 법적 처벌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도 하락 및 심각한 이미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민감정보 보호 및 보안 조치"
✅ 보안 조치 : 개인정보처리자는 민감정보가 분실·도난·유출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 조치를 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23조 제2항)
✔️ 데이터 암호화 및 접근 제한 ✔️ 접근 권한 최소화 및 보안 시스템 강화 ✔️ 정기적인 보안 점검 및 교육 실시 ✔️ 비공개 선택 가능성 사전 안내 (재화·서비스 제공 시)
👉 Tip : 이를 위반하면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법 제75조)
🎯 민감정보, 마지막 체크리스트
✔️ 민감정보는 원칙적으로 수집·이용 금지 ✔️ 정보주체의 별도 동의 필수 ✔️ 법적 요구 사항 준수 ✔️ 보안 조치 강화 및 접근 제한 적용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민감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 요구사항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기업과 기관의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올바른 정보 보호 조치는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개인정보 파기 기준과 안전한 삭제 방법, 보존 및 파기의무 정리)【☞ 보러가기 ☜】
개인정보 파기 기준과 안전한 삭제 방법, 보존 및 파기 의무 정리
개인정보 보호는 기업과 기관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법적 의무입니다. 개인정보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파기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정보의
mjdd.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