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기타부동산정보

빈집 신고 방법

by 늘슬찬 엠디 2024. 9. 25.
반응형

오늘은 빈집 신고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집은 주변 환경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신고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 빈집 신고 절차와 그에 따른 행정지도 과정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빈집 신고 방법 확인하는 이미지

"도시지역 빈집 신고 절차"

 

✅ 빈집에 대한 신고 : 누구든지 빈집이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빈집으로 인식한 경우 빈집이 소재한 지역 관할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시장·군수등)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제11조 및 제11조의3 제1항)

 

붕괴·화재 등 안전사고나 범죄 발생의 우려가 높은 경우, 위생상 유해 우려가 있는 경우, 관리가 적절히 되지 아니하여 현저히 경관을 훼손하고 있는 경우, 주변 생활환경 보전을 위하여 방치하기에는 부적절한 경우

 

✅ 신고에 따른 현장조사 : 빈집에 대한 신고가 접수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다음의 방법으로 따라 현장조사가 진행됩니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제10조의3)

 

빈집 해당 여부 확인, 빈집의 노후·불량 정도 확인, 빈집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인과의 면담, 빈집 주변 거주자의 의견 청취

🔍 아래에서 빈집 관련 다른 정보도 확인해 보세요!

✅ 빈집이란, ✅ 빈집정보시스템, ✅ 빈집실태조사의 개념, ✅ 빈집실태조사 절차, ✅빈집 철거 보상비·벌금(이행강제금), ✅ 빈집정비사업 시행·동의 절차, ✅ 빈집 매입·사용·수용, ✅ 빈집 활용 사례와 농촌주택개량사업

 

✅ 신고에 따른 행정지도 : 빈집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인은 해당 빈집의 위해요소 제거, 정비, 벌목 등 주변 생활환경 보전에 필요한 행정지도를 받게 됩니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11조의3 제3항)

 

"농어촌지역 특정빈집에 대한 신고 및 확인·조사"

 

✅ 특정빈집에 대한 신고 : 누구든지 빈집이 특정빈집에 해당한다고 인식한 경우, 해당 빈집이 소재한 지역의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농어촌정비법】제65조의3 제1항)

➡️ 【특정빈집이란】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빈집을 의미합니다. (농어촌정비법 제65조의3 제1항)

① 붕괴·화재 등 안전사고나 범죄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② 위생상 유해 우려가 있는 경우, ③ 관리가 적절히 되지 아니하여 현저히 경관을 훼손하고 있는 경우, ④ 주변 생활환경 보전을 위하여 방치하기에는 부적절한 경우

 

✅ 신고에 따른 현장조사 : 특정빈집에 대한 신고가 접수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현장조사가 진행됩니다. (농어촌정비법 시행령 제10조의3)

 

✅ 특정빈집에 대한 행정지도 : 빈집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인은 해당 빈집의 위해요소 제거, 정비, 벌목 등 주변 생활환경 보전에 필요한 행정지도를 받게 됩니다. (농어촌정비법 제65조의4)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더 나은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힘이 됩니다. 빈집 신고 절차와 관련된 정보를 잘 활용하시어 깨끗한 주거환경을 유지해 나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빈집실태조사 절차)【☞ 보러가기 ☜】

 

빈집실태조사 절차

오늘은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 빈집실태조사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집 문제는 주거 환경과 도시 개발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확한 실태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