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정보유출예방2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지정 기준과 법적 의무 정리 개인정보 보호는 기업과 기관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의무입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책임자(DPO, Data Protection Officer)의 지정은 법적 의무이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역할, 법적 책임, 지정 기준 및 업무 수행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개인정보 보호책임자란?" ✅ 지정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는 개인정보 처리와 보호 업무를 총괄하며 법적 준수를 책임지는 담당자로,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모든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제31조 제1항) ✔️ 보호책임자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최대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75조)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지정 .. 2025. 2. 24.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법 실천 가이드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는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온라인에서 입력하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생체 정보까지 모두 개인정보에 해당하는데요. 하지만 무분별한 정보 수집과 개인정보 유출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요즘, 내 정보는 내가 지켜야 합니다! 오늘은 정보주체의 권리와 함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10가지 핵심 수칙을 알아보겠습니다."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 정보주체 : 개인정보가 처리되는 당사자, 즉 개인정보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뜻합니다. 개인정보는 단순한 신상정보를 넘어, 타 정보와 결합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까지 포함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 제1호) ✅ 개인정보 : 살아 있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합니다. 개인.. 2025. 2.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