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아동·청소년·교육

아동·청소년 성매수, 처벌 수위는? 성구매자도 피할 수 없는 법적 책임

by 늘슬찬 엠디 2025. 8. 25.
반응형

오늘은 무거운 주제를 다뤄보려 합니다. 바로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와 그에 따른 처벌입니다. 단순한 법률 지식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우리 사회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아동·청소년 보호법은 성매수·유인·알선 등 다양한 행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위반 시 매우 엄중한 처벌이 뒤따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련 법률 조항과 처벌 수위, 그리고 피해자가 당했을 때 꼭 알아야 할 대처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성매수 혐의자 조사하고 있는 장면

 

⚖️ “아동·청소년 성을 사는 행위, 어디까지 범죄일까?”

 

✔️ 혹시 “단순한 장난이나 대화 정도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하신 적 있으신가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적 접근은 그 자체로 중대한 범죄이며, 법적으로 매우 무겁게 다뤄집니다.

 

✔️ 단순 제안부터 장소 제공, 알선, 강요까지 모두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죠. 오늘은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처벌을 받는지”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1️⃣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란? : 아동·청소년 또는 그 보호자에게 금전이나 편의를 제공하거나 약속하고 성행위, 신체 접촉, 노출 등 수치심·혐오감을 유발하는 행위를 하거나 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 즉, 단순히 직접 거래가 아니더라도 유인·알선·권유만으로도 범죄가 성립합니다.

 

2️⃣ 성구매자(성매수자)에 대한 처벌 (법 제13조) : ✔️ 아동·청소년의 성을 산 경우 : 1년 이상 ~ 10년 이하 징역, 2천만 원 이상 ~ 5천만 원 이하 벌금 ✔️ 16세 미만 또는 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 형량의 1/2 가중처벌

 

3️⃣ 성매매 권유·유인·강요에 대한 처벌 (법 제13조·제14조) : ✔️ 유인·권유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16세 미만 또는 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 가중처벌

 

✔️ 폭행·협박·채무 이용 등 강요 : 5년 이상 유기징역 ✔️ 강요 후 대가를 받은 경우 : 7년 이상 유기징역

 

4️⃣ 성매매 장소 제공 및 알선 행위 (법 제15조) : ✔️ 영업 목적으로 장소 제공 : 7년 이상 유기징역 ✔️ 비영업 목적 장소 제공 :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 알선·인터넷 정보 제공 : 7년 이상 유기징역 (영업 목적), 7년 이하 징역 (비영업 목적)

 

5️⃣ 온라인 성착취 목적 대화 (법 제15조의2) : ✔️ 19세 이상 성인이 아동·청소년에게 성적 대화를 지속적으로 하거나, 성적 행위를 권유·유인한 경우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특히 16세 미만 대상일 경우 동일하게 처벌됩니다.

 

6️⃣ 실제 대처 방법 : 만약 아동·청소년이 성매수 제안을 받았다면 즉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싫다는 의사 명확히 전달 ✔️ 부모·선생님에게 알리기 ✔️ 사이트 운영자 신고 및 게시물 삭제 요청 ✔️ 증거 확보 후 경찰청(112)·방송통신심의위원회(☎1377)에 신고

 

💡 피해자 지원기관 이용 : ✔️【☞ 십대여성인권센터 ☜】 ☎ 010-8232-1319 ✔️【☞ 여성폭력 사이버상담 ☜】 ☎ 1366 ✔️【☞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 ☎ 02-735-8994

 

👉 피해 사실은 숨기지 말고, 증거를 반드시 확보한 뒤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왜 끝까지 알아야 할까?

 

✔️ “한순간의 잘못된 선택이 평생의 낙인이 될 수 있다.”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는 가해자에게는 무거운 형사처벌, 피해자에게는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깁니다.

 

✔️ 우리가 법적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는, 예방과 신속한 대응에 있습니다. 끝까지 읽으신 여러분은 이미 중요한 사회적 안전망의 일부가 되신 거예요.

 

자료출처 : 법제처

 

✍️ 마무리하며...

 

오늘은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와 처벌 기준, 그리고 대처 방법까지 살펴봤습니다. 이 주제는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문제이며, 모두가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아동·청소년 보호는 우리 사회 전체의 책임입니다. 혹시 주변에서 위험 신호를 발견했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고하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올바른 지식과 행동이 우리 모두를 지켜줍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언어폭력이란? 사이버 모욕죄·명예훼손·스토킹 처벌 기준 완전 정리【☞ 보러가기 ☜】

 

언어폭력이란? 사이버 모욕죄·명예훼손·스토킹 처벌 기준 완전 정리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하지만, 생각보다 훨씬 무겁게 다뤄질 수 있는 ‘언어폭력’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단순한 말다툼으로 끝날 것 같지만, 실제로는 형법과 정보통신망법에서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