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포스팅은 가짜 돈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위조지폐는 흔히 영화 속에서 범죄 조직과 연계된 흥미로운 소재로만 여겨졌지만,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대량 위조지폐가 발견된 사례가 여럿 있습니다.
✔️ 2012년 11월 검거된 위폐범은 3년간 만 원권 약 19,000장을 제작하였으며, 2013년 6월 검거된 위폐범은 오천 원권을 8년간 약 50,000장을 제작하여 사용하다 검거되었습니다.
✔️ 가짜 돈을 만들어 사용한 성인, 초등학생이 호기심에 가짜 돈을 만들어 사용하다 잡혔다는 뉴스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은 아주 큰 범죄이며, 가짜 돈이 돌아다니면 사람들이 화폐를 신뢰하지 못하게 되어 사회에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아래에서 화폐 관련 다른 정보도 확인해 보세요!
✅ 한국 원화 (KRW), ✅ 미국 달러화 (USD), ✅ 유럽연합 유로화 (EUR), ✅ 영국 파운드화 (GBP), ✅ 일본 엔화 (JPY), ✅ 중국 위안화 (CNY), ✅ 홍콩 달러화 (HKD), ✅ 캐나다 달러화 (CAD), ✅ 화폐 이야기
✔️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과거부터 화폐를 위조한 범인들은 무거운 처벌을 받아왔으며, 18세기 후반 영국에서는 화폐를 위조한 범인을 교수형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엄중한 처벌에도 불구하고 위폐는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각 나라에서는 쉽게 위조할 수 없도록 최첨단 위조방지장치를 넣은 새로운 은행권을 발행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 요즘은 컬러 인쇄 장비가 보편화되어 누구나 쉽게 프린트할 수 있게 되었지만, 호기심에 돈을 복사해서 사용하면 정말 큰 처벌을 받게 됩니다.
또한, 위폐를 만든 사람뿐만 아니라 위폐인 것을 알면서 사용하는 사람까지도 모두 처벌을 받게 됩니다.
🚨 【위폐 관련 처벌】
✔️ 형법 제207조에 의해 돈으로 쓰기 위해 화폐를 위조·변조하면 무기 또는 2년 이상의 징역에 처해지고 ✔️ 형법 제208조에 의해 위조·변조된 화폐를 취득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며 ✔️ 형법 제210조에 의해 위조·변조된 화폐인 줄 알면서 사용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위조지폐 확인 방법"
✅ 확인방법 : 우리가 돈을 주고받을 때 잘 확인해야 하며, 가짜 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세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돈을 만져보고, 비춰보고, 기울여 보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로, 돈을 만져보세요. 지폐 전체의 모양을 살펴보고 만져보세요. 아래의 표시된 부분은 만져보면 그림과 글자가 오톨도톨하게 인쇄되어 있습니다.
👉 요판(볼록)인쇄 : 특수 조각기법으로 만든 오목하게 들어간 인쇄판에 잉크를 채워 글자나 무늬 등을 볼록하게 인쇄하는 기법으로 만져보면 오톨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인쇄기로 위조한 가짜 돈은 블록인쇄 기법을 사용하지 않아 오톨도톨한 느낌이 없으며, 미끌미끌한 느낌이 특징입니다.
🎯 두 번째로, 지폐를 햇빛이나 전등에 비춰보세요. 숨은그림과 앞뒷면맞춤, 숨은은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숨은그림 : 용지의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빛에 비추어 보면, 화폐 초상인 신사임당의 시선과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그려져 있는 신사임당이 나타납니다.
✔️ 위조한 가짜 돈은 용지의 두께 차이로 숨은그림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투명한 흰색으로 앞면이나 뒷면에 그림을 그려 넣어 숨은그림을 나타내어 진폐와 같이 빛에 비추어 비교하면 숨은그림이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 돌출은화 : 용지의 특정 부위와 주변의 두께 차이를 극대화한 숨은그림의 일종으로, 숨음그림의 오른쪽 하단에 있으며, 육안으로 보거나 빛에 비추어 보면 오각형 무늬 안에 숫자 '5'가 나타납니다.
👉 앞뒷면맞춤 : 동그란 원 속의 무늬를 빛에 비추어 보면 앞면과 뒷면의 무늬가 합쳐져 하나의 태극무늬가 완성되어 보이는 것으로 앞·뒷면을 동시에 인쇄하는 은행권만의 특수 인쇄기법입니다.
✔️ 빛에 비추기 전에는 앞면 부분과 뒷면 부분 모양만 확인할 수 있지만 빛에 비추어 보면 합쳐진 태극무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조한 가짜 돈은 앞면과 뒷면 무늬는 있으나, 앞면과 뒷면을 동시에 인쇄하는 진폐와 달리 보통 위폐는 앞면을 인쇄 후 뒷면을 인쇄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앞뒷면맞춤 무늬를 빛에 비추어 보면 어그러져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 숨은은선 : 초상 오른쪽에 숨겨져 있는 특수 필름 띠로서 빛에 비추어 보면 그 위에 문자와 액면숫자 “한국은행 BANK OF KOREA 50000”가 보입니다.
🎯 마지막으로, 지폐를 기울여 보세요. 반짝거리는 홀로그램과 입체형부분노출은선이 보이고, 지폐 뒷면에 금액을 나타내는 숫자의 색깔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띠형홀로그램 : 앞면 왼쪽 끝부분에 부착된 특수필름의 띠로 보는 각도에 따라 상·중·하 3곳에서 ① 우리나라 지도, ② 태극 무늬,
③ 4괘 무늬가 같은 위치에 번갈아 나타나며, 그 사이에 액면 숫자 50000이 세로로 쓰여 있고, 홀로그램 왼쪽 끝에는 BANK OF KOREA 50000이 상하 2곳에 세로로 새겨져 있습니다.
👉 입체형부분노출은선 : 청회색 특수 필름 띠로, 여러 개의 태극무늬가 사방 연속으로 새겨져 있으며, 은행권을 상하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좌우로, 은행권을 좌우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 색변환잉크 : 뒷면 오른쪽 상단의 액면숫자 “50000”에 적용되어 있으며, 은행권을 기울이면 액면숫자의 색상이 자홍색(magenta)에서 녹색(green)으로 녹색에서 자홍색으로 변합니다.
👉 요판잠상 : 특수 요판(볼록)인쇄 기법으로 인쇄하여 은행권을 비스듬히 눕혀 보면 무늬 속에서 숫자 ‘5’가 드러나 보입니다.
🎯 기타 위조방지장치
👉 미세문자 : 확대경을 이용하여 아주 작은 문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눈이 좋은 사람은 확대경 없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앤드리스무늬 : 은행권 상하와 좌·우 가장자리에 연속되는 무늬를 넣어 인쇄하는 기법으로 은행권을 접어서 상하와 좌·우 서로 맞대어 보면 무늬가 연결되어 하나의 문양으로 보입니다.
자료출처 : 한국은행
✍️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알아본 위조방지장치 외에도 전문 취급자를 위한 위폐 확인 방법 등 더 많은 방지장치가 있습니다. 돈을 만져보고, 비춰보고, 기울여 보면 누구나 쉽게 가짜 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위폐를 받아서 생기는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만약 위폐를 발견하면 가까운 경찰서나 은행에 신고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 생활에서 위폐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국 파운드 GBP 정보)【☞ 보러가기 ☜】
영국 파운드(GBP) 정보
오늘은 대영제국, 영국의 화폐인 파운드 스털링(Pound sterling)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통 줄여서 파운드 또는 스털링이라고 부릅니다. 9세기 초 금본위제도를 도입한 영국은 세계 경제의
mjdd.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