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기타 금융정보

보이스피싱 사기 예방 방법

by 늘슬찬 엠디 2023. 6. 29.
반응형

오늘은 누구나 피해 볼 수 있는 보이스피싱 예방법 두 번째 시간입니다. 보이스 피싱은 점점 더 교묘하고 정교한 사기 수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대비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보이스 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유용한 정보에 관한 내용으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사가 예방 방법 확인하는 이미지

✅ 보이스피싱 예방 제도 : ① ATM 지연인출제도는 1회에 100만 원 이상 금액이 송금·이체되어 입금되었을 때 입금된 때로부터 30분간 자동화기기(CD/ATM기 등)를 통한 인출·이체가 지연됩니다. 단, 은행 창구에서는 즉시 인출·이체가 가능합니다.

 

② 지연이체서비스 : 이체 시 돈을 입금받는 계좌에 일정시간(최소 3시간) 경과 후 입금되도록 하는 서비스로, 지연이체서비스를 신청하시면 이체 신청 후 최종 이체 처리시간 30분 전까지 이체를 취소할 수 있어, 보이스피싱에 속아 돈을 이체하거나 착오 송금으로 인해 다른 계좌로 이체했을 경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지연이체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사전 등록한 가족·거래처 및 소액결제자금은 즉시 이체할 수 있으며, 지연이체서비스는 인터넷뱅킹 또는 은행 영업점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아래에서 다른 금융 정보도 확인해 보세요!

✅ 금융실명거래 및 금융거래의 비밀 보장, ✅ 금융소비자보호(비교공시제도), ✅ 금융소비자 권리(위법계약의 해지권·자료열람요구권·금리인하요구권)

✅ 신용관리 방법(신용정보·CB정보란), ✅ 신용관리 방법(왜·어떻게 해), ✅ 신용관리 방법(이렇게 하세요), ✅ 보이스피싱(금융사기 유형), ✅ 보이스피싱(대처 이렇게),

✅ 의심거래보고(STR)·고액현금거래보고(CTR), ✅ 고객확인(CDD)·자금세탁방지제도, ㅍ 예금자보호제도,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ㅍ 국민주택채권(매입대상·면제대상·할인율)

 

③ 입금계좌 지정서비스 : 본인이 미리 지정한 계좌로 전자금융 이체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송금할 수 있지만, 지정하지 않은 계좌로는 소액 송금만 가능(1일 1백만 원 이내 이체한도 설정)합니다. 단, 은행 창구에서는 금액에 상관없이 즉시 이체가 가능하며, 인터넷뱅킹 또는 영업점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④ 한도제한계좌 : 한도제한계좌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 개설 시 금융거래 목적에 대한 객관적인 증빙서류가 제출되지 않아 일반계좌 개설이 불가능한 경우에 개설되는 계좌로, 출금 및 이체금액이 제한됩니다.

 

✔️ 한도제한계좌를 일반계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은행에 금융거래목적 확인서 및 증빙서류를 제출하거나, 은행에서 정상계좌로 판단할 수 있는 일정 거래실적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⑤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제한 : 은행에서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계좌가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목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 20영업일 내 계좌개설 이력이 있는 경우 새로운 계좌의 개설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예전에는 시중은행에서 얼마든지 여러 개의 계좌를 개설할 수 있었으나, 보이스피싱 사기 예방 차원에서 요즘은 계좌 개설을 마음대로 할 수 없어져서 불편하기는 하지만, 보이스피싱 사기 예방 차원에서는 어쩔 수 없는 조치인 것 같습니다.

 

"보이스피싱 사기 유형"

 

✅ 자녀납치 및 사고 빙자 편취 : 자녀와 부모의 전화번호 등을 알고 있는 사기범이 자녀의 전화번호로 발신자 번호를 변조하여 부모에게 마치 자녀가 사고 또는 납치 상태인 것처럼 가장합니다.

 

✔️ 이를 통해 부모로부터 자금을 편취하는 수법으로, 학교에 간 자녀 납치 빙자, 군대에 간 아들 사고 빙자, 유학 중인 자녀 납치 또는 사고 빙자 등의 유형이 있습니다.

 

✅ 메신저상에서 지인으로 속여 송금을 요구 : 사기범이 타인의 인터넷 메신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해킹하여 로그인한 후 이미 등록된 가족, 친구 등 지인에게 1:1 대화 또는 쪽지 등을 통해 금전, 교통사고 합의금 등 긴급자금을 요구하고 피해자가 속아 송금하게 만듭니다. 이를 통해 사기범은 돈을 편취합니다.

 

✅ 인터넷 뱅킹을 이용해 카드론 대금 및 예금 등 편취 : 사기범은 명의도용, 정보유출, 범죄사건 연루 등의 명목으로 피해자를 현혹하여 피싱 사이트를 통해 신용카드정보와 인터넷뱅킹정보를 알아냅니다.

 

✔️ 그 후, 사기범은 ARS 또는 인터넷을 통해 피해자 명의로 카드론을 받고,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통해 인터넷뱅킹으로 카드론 대금 등을 피해자의 돈을 편취합니다.

 

✅ 금융회사, 금감원 명의의 허위 긴급공지 문자메시지로 기망,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여 예금 등 편취 : 사기범은 금융회사 또는 금융감독원에서 보내는 공지사항을 허위로 만들어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피싱사이트로 유도합니다.

 

✔️ 그 후, 피해자는 금융거래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기범은 피해자 명의의 대출 등을 받아 편취합니다.

 

✅ 전화 통화를 통해 텔레뱅킹 이용정보를 알아내어 금전 편취 : 사기범은 50~70대 고령층을 대상으로 전화통화를 통해 텔레뱅킹 가입 사실을 확인하거나 가입하게 합니다.

 

✔️ 그 후, 명의도용, 정보유출, 범죄사건 연루 등의 명목으로 피해자를 현혹하여 텔레뱅킹에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고, 피해자 계좌에서 돈을 사기범의 계좌로 이체하여 편취합니다.

 

✅ 피해자를 기망하여 자동화기기로 유인 편취 : 사기범은 수사기관 직원이나 국세청,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관리공단 등으로 속여 피해자에게 전화하고, 계좌 안전조치 등의 명목으로 자동화기기로 유인하여 자금을 편취합니다.

 

✅ 피해자를 기망하여 피해자에게 자금을 이체토록 하여 편취 : 사기범은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피해자를 현혹한 후, 계좌 이체를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사기범은 피해자로부터 자금을 이체하여 편취합니다.

 

✅ 신용카드정보 취득 후 ARS를 이용한 카드론 대금 편취 : 사기범은 명의도용, 정보유출, 범죄사건 연루 등의 명목으로 피해자를 현혹한 후, 신용카드정보를 알아냅니다.

 

✔️ 그리고 ARS를 통해 피해자 명의로 카드론을 받으면서 피해자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허위로 범죄자금 입금 사실을 알리고, 피해자에게 사기범 계좌로 이체를 유도하여 자금을 편취합니다.

 

✅ 상황극 연출에 의한 피해자 기망 편취 : 은행직원, 경찰·검찰 수사관 등으로 속여, 사기범들은 실제로 일어나는 상황을 연출하여 피해자를 기망하고, 이를 통해 금전을 편취합니다.

 

✅ 물품대금 오류송금 빙자로 피해자를 기망하여 편취 : 사기범은 물품대금, 숙박비 등을 송금하였다고 주장한 후, 잠시 후 실수로 잘못 송금하였다고 말하면서 반환 또는 차액을 요구하여 피해자로부터 돈을 편취합니다.

 

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 마무리하며...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보이스피싱 사기가 있으니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의심스러운 전화나 메시지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보이스피싱 유형별 대처 방법 및 사기 피해 시 대처 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

이모티콘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유형)【☞ 보러가기 ☜】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유형

오늘은 누구나 피해를 볼 수 있는 보이스피싱에 관한 주제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보이스피싱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경험하고 있는 심각한 사기 형태 중 하나입니다. "보이스피싱" 2

mjdd.co.kr

 

반응형

댓글


JavaScript 버튼 테스트